무료충전현금게임 ☏ 73.rkc953.top ☏ 릴게임 손오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희세희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6-06 14:41본문
- http://2.rmt583.top 6회 연결
- http://28.rtm452.top 2회 연결
【37.rkc953.top】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카카오 야마토 먹튀온라인게임릴게임놀이터
바다이야기 pc용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모바일릴게임 접속하기 최신야마토게임 파칭코 어플 모바일릴게임 체리마스터 다운 릴게임 체리마스터 야마토게임공략방법 한게임바둑이 릴게임연타 바다이야기부활 손오공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시즌7 신규슬롯사이트 도그하우스 하는법 바다이야기 게임장 무료 야마토 게임 무료슬롯 얌얌 백경게임 뽀빠이릴게임 야마토사이트 바다 슬롯 먹튀 황금성 게임랜드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10원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황금고래 바다이야기PC버전 pc빠찡꼬게임 릴게임 손오공 오락실황금성 슬롯무료체험 잭팟 오리지널황금성 슬롯 검증사이트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10원야마토게임 릴게임강시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골드몽사이트 럭키세븐 야마토3동영상 해적게임 모바일파칭코 백경게임사이트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백경게임사이트 현금게임 신천지 게임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릴게임판매 바다이야기7 바다이야기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apk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황금성 무료머니 오리 지날황금성 손오공릴게임 오리지날 야마토 야마토5게임방법 바다이야기하는곳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슬롯무료게임 바다이야기기프트전환 모바일황금성 알라딘설명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슬롯머신 온라인예시게임 바다이야기무료 우주전함야마토2199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바다신2 다운로드 파라 다이스 오션 릴게임릴게임갓 소액 슬롯 추천 황금성하는곳 야마토게임장 황금포커성 바다이야기먹튀신고 올쌈바 뽀빠이릴게임 일본빠칭코게임 백경게임다운로드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슬롯 머신 제작 알라딘게임다운 황금성먹튀 슬롯게임 무료 해적게임 백경 게임 Pg 소프트 무료 체험 바다신2 영상 실시간릴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 하는법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알라딘예시 야마토게임공략법 무료슬롯 얌얌 신천기릴게임 오리지널야마토 바다이야기도박 바다이야기 시즌7 릴게임사이다 바다이야기pc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바다신2 게임 바다이야기 슬롯 키지노릴게임 무료게임 황금성 신오션파라다이스 모바일릴게임사이트 모바일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노무현 릴게임신천지사이트 알라딘게임예시 야마토예시 부산야마토 야마토게임하기 야마토2동영상 슬롯머신 777 오션파라다이스 카지노릴게임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됐습니다. 비도 더 많이 퍼부을 것이고, 그러면 흙속에서 기어나와 온몸을 비틀다 그만 육포처럼 말라붙어 생을 마감하는 가련한 지렁이들도 더 많이 보이겠죠. 우리에게 지렁이는 아무리 크게 자라도 어른 두 손바닥을 펼친 길이 정도로 인식되는데요. 모든 지렁이가 그렇지는 않답니다. 우선 미국 자연사박물관 소셜미디어에 최근 올라온 사진을 한 번 보실까요?
다 자라면 몸길이가 1.5m에 이르는 초대형 지렁이 마르티오드릴루스./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facebook
입이 떡 벌어집니다. 뱀이라고 해도 될 정도의 어마어 살림의 신 마한 크기, 하지만 지렁이 특유의 고리마디가 뚜렷해요. 남미에 살고 있는 거대 지렁이 마르티오드릴루스(Martiodrilus)예요. 전체 몸길이가 1.5m에 몸무게는 500g까지 자랄 수 있으니 어지간한 뱀들과 맞먹습니다.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등 남미 북부에 주로 서식하는 놈들은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지만 땅속을 움직일 때 소리가 지표면에서도 들릴 정도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금리인하 라고 합니다.
보통 지렁이의 열 배나 되는 몸집이지만 명시적인 형태의 눈코입은 보이지 않아도 몸의 앞쪽임을 말해주는 고리띠를 앞세우고 몸의 마디를 움직이면서 이동하겠죠. 썩은 나뭇잎 등 주된 먹잇감을 먹어치우면서 동시에 똥을 배출해 토지에 영양분을 공급할테고요. 지렁이·거머리 등이 속해있는 무리인 환형동물은 무척추 동물 중에서도 눈코입과 지방자치단체장 다리형태가 분명한 연체동물·절지동물에 비해서는 꽤나 원시적인 모습입니다. 그런데 이런 원시적인 지렁이를 롤모델로 삼아서 몸의 꼴을 갖춘 놈들이 척추동물중에 있다는 걸 아십니까? 지렁이처럼 살고 싶어 지렁이를 추앙한 뱀과 도롱뇽의 이야기입니다.
호주에 서식하는 거대 지렁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unshine Coast Council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통념은 주어진 환경에 맞춰 적응을 하다보니 하등한쪽에서 고등한 쪽으로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단일한 종, 유사한 무리에서 진화가 일어난다고 인식하기 마련이죠. 그런데 꼭 이런 통념안에서만 진행되지 않는 진화가 있답니다. 바로 수렴진화 카드종류 인데요. 사돈의 팔촌이라고도 할 수 없는 완전히 다른 무리에 속하는 동물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살다보니 엇비슷해지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이니 케이스가 상어와 돌고래입니다. 한쪽은 아가미 구멍으로 숨을 쉬고 알을 낳는 연골어류이고, 다른 쪽은 척추동물의 끝판왕 포유동물에 속하지만 결과적으로 바다에서 헤엄치면서 살아가다보니 유선형의 날렵한 몸에 지느러미까지 닮은 꼴 생명체가 됐어요.
나방의 한 종류인 박각시와 벌새도 수렴진화의 한 종류입니다. 꽃꿀을 빨면서 살아가는 습성을 틀로 박각시는 벌새와 빼닮은 모양을 갖게 됐어요. 오죽하면 ‘붕~’하며 날아다니는 박각시를 보고 “한국에 벌새가 살고 있다”는 제보가 끊이지 않을 정도죠. 이 수렴진화의 본질을 담고 있는 사례가 바로 길쭉하고 검붉은 몸뚱아리를 꾸불텅대면서 흙속을 살아가는 놈들입니다. 하나는 지렁이, 하나는 뱀, 하나는 영원(도롱뇽과 비슷하게 생긴 양서류)이에요.
지렁이를 빼닮았지만 개구리와 도롱뇽과 같은 척추동물 양서류인 무족영원/Utah State University
우선 물컹물컹한것까지 지렁이와 빼닮은 무족영원부터 살펴봅니다. 검붉거나 거무튀튀한 몸색깔에 온몸이 촘촘한 고리무늬로 돼있어요. 입을 쩍 벌릴때나 앞뒤가 어딘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헤비급 지렁이같지만 엄연히 척추동물 4대 문파인 물뭍동물 양서류예요. 개구리·두꺼비·도롱뇽 등 양서류 문파들의 시조 격입니다. 중남미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덥고 습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는데 가장 큰 종류의 크기가 마르티오드릴루스처럼 1.5m라는 것까지 지렁이와 빼닮았습니다. 지렁이와 서식처를 공유하다보니 지렁이를 즐겨먹게 됐습니다. 지렁이를 입에 물고 으적으적 씹어먹는 장면을 보면 마치 카니벌리즘 괴담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어요.
무족영원 중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무리가 출산한 직후의 모습./ Carlos Jared. Michigan Public NPR
양서류 버전의 원시인이지만 희한하게 다른 놈들보다 훨씬 진화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번식입니다. 대부분의 개구리·도롱뇽들은 부둥켜있다가 암컷이 산란하면 수컷이 방정하는 전형적인 물고기형태의 체외수정 방식을 택하는데요. 신기하게도 가장 원시적인 무족영원은 한눈에 구분이 어려운 암수가 신체를 맞대는 체외수정으로 번식합니다. 희끄무레한 알을 낳아서 또아리를 틀지, 아니면 난태생으로 제 어미 아비와 비슷한 모양새로 자란 길다란 것들을 쑥쑥 출산하죠.
검붉고 길쭉한 몸으로 흙더미를 파헤치고 살아가는 것들 중에는 뱀도 있어요. 한눈에 봐도 지렁이로 오해할 공산이 큰, 세상에서 가장 작은 미니뱀 장님뱀입니다. 혐오와 공포의 대명사 뱀은 발이 없다는 공통점만 빼면 정말 다양한 곳에서 몸의 형태를 변용해 번성하고 있습니다. 그 극단적 사례가 바로 장님뱀이에요. 몸길이는 대개 15~30㎝이니 명실상부한 지렁이 사이즈입니다.
지렁이와 생김새가 빼닮은 초소형 뱀 브라미니 장님뱀./Ausralian Museum
눈도 퇴화해 머리 쪽에 점 두개를 살짝 찍은 것처럼 보일락말락해요. 단단한 비늘을 갖고 있지만, 색깔은 불그스름하거나 거무튀튀한 지렁이색이에요. 지렁이를 엄청나게 흠모한 나머지 몸의 사이즈와 생김새를 지렁이 스타일로 변용시킨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이 장님뱀이 낳아놓은 알껍질을 뚫고 나오는 새끼뱀은 십중팔구 실지렁이로 오해받을 공산이 큽니다. 장님뱀 중에서도 지렁이와 도플갱어처럼 빼닮은 브라미니 장님뱀의 경우 지렁이 못지 않은 기기묘묘한 번식신공을 보여줍니다. 지렁이의 경우 암컷의 생식기관과 수컷의 생식기관을 모두 갖고 있는 자웅동체입니다.
지렁이와 몸집도, 습성도, 외모도 빼닮은 브라미니 장님뱀./Noah Mueller. Florida Museum
그렇다고 해서 자기 복제를 하는게 아니라 이성을 찾아 짝을 짓죠. 그런데 브라미니 장님뱀은 일종의 자기 복제 방식으로 번식을 해요. 여느 파충류처럼 알을 낳고 새끼를 치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브라미니 장님뱀은 모조리 암컷이었습니다. 이런 자기복제 방식은 코모도왕도마뱀 등 일부 파충류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다만 이 때는 수컷없이 대를 이어야 하는 극단적이니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었어요. 브라미니 장님뱀처럼 오로지 암컷이 알을 낳아 부화한 암컷이 다시 알을 낳는 방식으로 수컷이 원초적으로 배제된 경우는 이 뱀이 유일합니다.
아메바부터 침팬지까지, 사람 빼고 살아 숨 쉬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수요동물원 구독하기(https://www.chosun.com/tag/jungjisup-zoo/)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카카오 야마토 먹튀온라인게임릴게임놀이터
무료충전현금게임 ☏ 93.rkc953.top ☏ 릴게임 손오공
무료충전현금게임 ☏ 3.rkc953.top ☏ 릴게임 손오공
무료충전현금게임 ☏ 98.rkc953.top ☏ 릴게임 손오공
무료충전현금게임 ☏ 92.rkc953.top ☏ 릴게임 손오공
바다이야기 pc용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모바일릴게임 접속하기 최신야마토게임 파칭코 어플 모바일릴게임 체리마스터 다운 릴게임 체리마스터 야마토게임공략방법 한게임바둑이 릴게임연타 바다이야기부활 손오공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시즌7 신규슬롯사이트 도그하우스 하는법 바다이야기 게임장 무료 야마토 게임 무료슬롯 얌얌 백경게임 뽀빠이릴게임 야마토사이트 바다 슬롯 먹튀 황금성 게임랜드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10원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황금고래 바다이야기PC버전 pc빠찡꼬게임 릴게임 손오공 오락실황금성 슬롯무료체험 잭팟 오리지널황금성 슬롯 검증사이트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10원야마토게임 릴게임강시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릴게임골드몽사이트 럭키세븐 야마토3동영상 해적게임 모바일파칭코 백경게임사이트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백경게임사이트 현금게임 신천지 게임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릴게임판매 바다이야기7 바다이야기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apk 야마토5게임다운로드 황금성 무료머니 오리 지날황금성 손오공릴게임 오리지날 야마토 야마토5게임방법 바다이야기하는곳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우주전함 야마토 2199 슬롯무료게임 바다이야기기프트전환 모바일황금성 알라딘설명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슬롯머신 온라인예시게임 바다이야기무료 우주전함야마토2199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바다신2 다운로드 파라 다이스 오션 릴게임릴게임갓 소액 슬롯 추천 황금성하는곳 야마토게임장 황금포커성 바다이야기먹튀신고 올쌈바 뽀빠이릴게임 일본빠칭코게임 백경게임다운로드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슬롯 머신 제작 알라딘게임다운 황금성먹튀 슬롯게임 무료 해적게임 백경 게임 Pg 소프트 무료 체험 바다신2 영상 실시간릴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 하는법 프라그마틱 슬롯 하는법 알라딘예시 야마토게임공략법 무료슬롯 얌얌 신천기릴게임 오리지널야마토 바다이야기도박 바다이야기 시즌7 릴게임사이다 바다이야기pc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바다신2 게임 바다이야기 슬롯 키지노릴게임 무료게임 황금성 신오션파라다이스 모바일릴게임사이트 모바일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노무현 릴게임신천지사이트 알라딘게임예시 야마토예시 부산야마토 야마토게임하기 야마토2동영상 슬롯머신 777 오션파라다이스 카지노릴게임 본격적인 여름철이 시작됐습니다. 비도 더 많이 퍼부을 것이고, 그러면 흙속에서 기어나와 온몸을 비틀다 그만 육포처럼 말라붙어 생을 마감하는 가련한 지렁이들도 더 많이 보이겠죠. 우리에게 지렁이는 아무리 크게 자라도 어른 두 손바닥을 펼친 길이 정도로 인식되는데요. 모든 지렁이가 그렇지는 않답니다. 우선 미국 자연사박물관 소셜미디어에 최근 올라온 사진을 한 번 보실까요?
다 자라면 몸길이가 1.5m에 이르는 초대형 지렁이 마르티오드릴루스./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facebook
입이 떡 벌어집니다. 뱀이라고 해도 될 정도의 어마어 살림의 신 마한 크기, 하지만 지렁이 특유의 고리마디가 뚜렷해요. 남미에 살고 있는 거대 지렁이 마르티오드릴루스(Martiodrilus)예요. 전체 몸길이가 1.5m에 몸무게는 500g까지 자랄 수 있으니 어지간한 뱀들과 맞먹습니다.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등 남미 북부에 주로 서식하는 놈들은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지만 땅속을 움직일 때 소리가 지표면에서도 들릴 정도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금리인하 라고 합니다.
보통 지렁이의 열 배나 되는 몸집이지만 명시적인 형태의 눈코입은 보이지 않아도 몸의 앞쪽임을 말해주는 고리띠를 앞세우고 몸의 마디를 움직이면서 이동하겠죠. 썩은 나뭇잎 등 주된 먹잇감을 먹어치우면서 동시에 똥을 배출해 토지에 영양분을 공급할테고요. 지렁이·거머리 등이 속해있는 무리인 환형동물은 무척추 동물 중에서도 눈코입과 지방자치단체장 다리형태가 분명한 연체동물·절지동물에 비해서는 꽤나 원시적인 모습입니다. 그런데 이런 원시적인 지렁이를 롤모델로 삼아서 몸의 꼴을 갖춘 놈들이 척추동물중에 있다는 걸 아십니까? 지렁이처럼 살고 싶어 지렁이를 추앙한 뱀과 도롱뇽의 이야기입니다.
호주에 서식하는 거대 지렁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unshine Coast Council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통념은 주어진 환경에 맞춰 적응을 하다보니 하등한쪽에서 고등한 쪽으로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단일한 종, 유사한 무리에서 진화가 일어난다고 인식하기 마련이죠. 그런데 꼭 이런 통념안에서만 진행되지 않는 진화가 있답니다. 바로 수렴진화 카드종류 인데요. 사돈의 팔촌이라고도 할 수 없는 완전히 다른 무리에 속하는 동물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살다보니 엇비슷해지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이니 케이스가 상어와 돌고래입니다. 한쪽은 아가미 구멍으로 숨을 쉬고 알을 낳는 연골어류이고, 다른 쪽은 척추동물의 끝판왕 포유동물에 속하지만 결과적으로 바다에서 헤엄치면서 살아가다보니 유선형의 날렵한 몸에 지느러미까지 닮은 꼴 생명체가 됐어요.
나방의 한 종류인 박각시와 벌새도 수렴진화의 한 종류입니다. 꽃꿀을 빨면서 살아가는 습성을 틀로 박각시는 벌새와 빼닮은 모양을 갖게 됐어요. 오죽하면 ‘붕~’하며 날아다니는 박각시를 보고 “한국에 벌새가 살고 있다”는 제보가 끊이지 않을 정도죠. 이 수렴진화의 본질을 담고 있는 사례가 바로 길쭉하고 검붉은 몸뚱아리를 꾸불텅대면서 흙속을 살아가는 놈들입니다. 하나는 지렁이, 하나는 뱀, 하나는 영원(도롱뇽과 비슷하게 생긴 양서류)이에요.
지렁이를 빼닮았지만 개구리와 도롱뇽과 같은 척추동물 양서류인 무족영원/Utah State University
우선 물컹물컹한것까지 지렁이와 빼닮은 무족영원부터 살펴봅니다. 검붉거나 거무튀튀한 몸색깔에 온몸이 촘촘한 고리무늬로 돼있어요. 입을 쩍 벌릴때나 앞뒤가 어딘줄 구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헤비급 지렁이같지만 엄연히 척추동물 4대 문파인 물뭍동물 양서류예요. 개구리·두꺼비·도롱뇽 등 양서류 문파들의 시조 격입니다. 중남미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덥고 습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는데 가장 큰 종류의 크기가 마르티오드릴루스처럼 1.5m라는 것까지 지렁이와 빼닮았습니다. 지렁이와 서식처를 공유하다보니 지렁이를 즐겨먹게 됐습니다. 지렁이를 입에 물고 으적으적 씹어먹는 장면을 보면 마치 카니벌리즘 괴담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어요.
무족영원 중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무리가 출산한 직후의 모습./ Carlos Jared. Michigan Public NPR
양서류 버전의 원시인이지만 희한하게 다른 놈들보다 훨씬 진화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번식입니다. 대부분의 개구리·도롱뇽들은 부둥켜있다가 암컷이 산란하면 수컷이 방정하는 전형적인 물고기형태의 체외수정 방식을 택하는데요. 신기하게도 가장 원시적인 무족영원은 한눈에 구분이 어려운 암수가 신체를 맞대는 체외수정으로 번식합니다. 희끄무레한 알을 낳아서 또아리를 틀지, 아니면 난태생으로 제 어미 아비와 비슷한 모양새로 자란 길다란 것들을 쑥쑥 출산하죠.
검붉고 길쭉한 몸으로 흙더미를 파헤치고 살아가는 것들 중에는 뱀도 있어요. 한눈에 봐도 지렁이로 오해할 공산이 큰, 세상에서 가장 작은 미니뱀 장님뱀입니다. 혐오와 공포의 대명사 뱀은 발이 없다는 공통점만 빼면 정말 다양한 곳에서 몸의 형태를 변용해 번성하고 있습니다. 그 극단적 사례가 바로 장님뱀이에요. 몸길이는 대개 15~30㎝이니 명실상부한 지렁이 사이즈입니다.
지렁이와 생김새가 빼닮은 초소형 뱀 브라미니 장님뱀./Ausralian Museum
눈도 퇴화해 머리 쪽에 점 두개를 살짝 찍은 것처럼 보일락말락해요. 단단한 비늘을 갖고 있지만, 색깔은 불그스름하거나 거무튀튀한 지렁이색이에요. 지렁이를 엄청나게 흠모한 나머지 몸의 사이즈와 생김새를 지렁이 스타일로 변용시킨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이 장님뱀이 낳아놓은 알껍질을 뚫고 나오는 새끼뱀은 십중팔구 실지렁이로 오해받을 공산이 큽니다. 장님뱀 중에서도 지렁이와 도플갱어처럼 빼닮은 브라미니 장님뱀의 경우 지렁이 못지 않은 기기묘묘한 번식신공을 보여줍니다. 지렁이의 경우 암컷의 생식기관과 수컷의 생식기관을 모두 갖고 있는 자웅동체입니다.
지렁이와 몸집도, 습성도, 외모도 빼닮은 브라미니 장님뱀./Noah Mueller. Florida Museum
그렇다고 해서 자기 복제를 하는게 아니라 이성을 찾아 짝을 짓죠. 그런데 브라미니 장님뱀은 일종의 자기 복제 방식으로 번식을 해요. 여느 파충류처럼 알을 낳고 새끼를 치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브라미니 장님뱀은 모조리 암컷이었습니다. 이런 자기복제 방식은 코모도왕도마뱀 등 일부 파충류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다만 이 때는 수컷없이 대를 이어야 하는 극단적이니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었어요. 브라미니 장님뱀처럼 오로지 암컷이 알을 낳아 부화한 암컷이 다시 알을 낳는 방식으로 수컷이 원초적으로 배제된 경우는 이 뱀이 유일합니다.
아메바부터 침팬지까지, 사람 빼고 살아 숨 쉬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수요동물원 구독하기(https://www.chosun.com/tag/jungjisup-zoo/)
추천0 비추천0
- 이전글토끼출장샵https://butterfly55.com/uiwangchuljangsyab/ 25.06.06
- 다음글가개통 ♦️텔레 realsim2♦️ 신용불량대출 선유내구제 당일일수 선불유심내구제 25.06.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