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종류 ┛ 23.rcc734.top ┛ 강원랜드 잭팟 확률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팽우호차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80회 작성일 25-09-17 06:49본문
- http://91.rhf865.top 11회 연결
- http://62.rtb827.top 12회 연결
【48.rcc734.top】
올해도 가을모기 늘어날 듯…'여름모기보다 더 독하다' 속설 과학적 근거 없어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계절상 가을이 시작된 9월이지만 여름보다 더 모기가 많아진 것 같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모기는 처서(올해는 8월 23일)가 지나고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이 되면 활동이 뜸해진다는 게 그동안의 상식이었다.
하지만 몇해 전부터 가을 모기가 심상치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또 늦가을까지 극성인 모기를 다룬 언론 보도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가을 모기가 늘어난 게 단지 사람들의 물품매매계약 느낌일 뿐일까. 실제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가 여름에서 가을로 바뀐 것일까 확인해봤다.
모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서울에서 가을 채집 모기, 여름철보다 많아
급전대출 급전82닷컴 서울의 경우 작년 모기 채집 통계를 보면 여름철보다 가을철에 모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등)에 채집된 모기 개체수는 모두 1만6천997마리였다.
연구원은 매년 4∼11월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에 설치된 유문등 53개에서 주 직업군인 1회 채집된 모기를 분석해 종별 발생 양상을 감시하고 있다.
지난해 채집된 모기 가운데 주거지에서 자주 접하는 모기인 빨간집모기가 전체의 86.9%로 우점종(가장 많은 종류)을 차지했다.
숲이나 공원에 주로 서식하는 한국숲모기, 말라리아를 전파하는 얼룩날개모기속, 뎅기열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을 옮기는 흰줄숲모기가 그 1년 퇴직금 뒤를 이었다.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60마리(0.4%) 채집되기도 했다.
주별로는 6월 넷째 주(798마리)와 7월 첫째 주(801마리)에 단기 고점에 오른 뒤 오르락내리락하다가 9월 첫째 주부터 다시 반등해 10월 다섯째 주에 1천265마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직자서민대출11월 둘째 주에 채집된 모기가 1천87마리로, 8월 주 평균(429마리)의 2배가 넘어 지난해 모기가 늦게까지 기승을 부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모기 개체수 추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월별로 보면 모기의 가을 강세가 두드러졌다.
10월에 채집된 모기가 5천87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는 두 번째로 많은 7월 2천511마리의 2.5배 수준이었다.
10월을 포함해 가을철(9∼11월)에 잡힌 모기가 9천234마리로, 여름철(6∼8월)보다 많을 뿐만 아니라 전체의 54.3%에 달했다.
가을철에 포함된 11월은 4주가 아닌 2주만 계산된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모기 '극성기'가 가을이었다는 점이 뚜렷하다.
2020년 6월 울산서 발견된 작은빨간집모기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울산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0년부터 가을 모기 증가…빨간집모기 가을철에 여름철보다 1.6배
이런 추세는 2020년부터 시작됐다.
2015∼2024년 서울시 유문등 채집 모기 수 추이를 보면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주(이하 피크주)가 2015∼2019년 기간 중 2017년(9월 첫 주)을 제외하고 모두 7월이었다.
예컨대 2015년은 7월 셋째 주, 2016년은 7월 둘째 주, 2018년과 2019년은 7월 넷째 주가 피크주였다.
특히 2015년과 2016년엔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채집된 주도 7월이었다. 즉, 두 해는 한여름인 7월이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한 시기였다.
하지만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021년(6월 넷째 주)을 제외하고 피크주가 모두 10월이나 11월에 있었다.
2022년엔 피크주가 11월 첫째 주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늦은 시기였다.
월별로 보면 극성기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2015∼2019년엔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달(피크월)이 2017년(9월 첫 주)을 제외하고는 7월 또는 8월이었지만, 2020∼2024년은 9월 또는 10월이었다.
[표]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주와 월의 연도별 추이
(단위: 마리)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모기'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빨간집모기만 놓고 보면 이런 추세는 더 두드러진다.
빨간집모기의 피크월은 2015년과 2016년은 7월, 2017년 9월, 2018년 10월, 2019년 7월로 여름과 가을을 오갔지만 2020년부터 5년간은 모두 10월을 기록했다.
2015년과 2016년 가을철에 채집된 빨간집모기 수는 여름철 모기 수의 절반가량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는 여름철 모기 수를 넘어서 지난해에는 여름철의 1.6배로 불어났다.
채집된 전체 빨간집모기 수에서 가을철 모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30.3%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22년부터는 50%를 웃돌고 있다.
[표] 빨간집모기 피크월과 계절별 추이
(단위: 마리, %)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가을 모기 잡아라' 집중 방역 2023년 9월 18일 대구 동구 신암동 주택가에서 동구보건소 관계자가 모기 등 해충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모기는 변온동물…폭염에 수명 짧아지고 '열 스트레스' 받아
모기 주 활동기의 이동은 기후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모기 권위자인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에 따르면 모기는 변온동물이라 기온에 따라 활동 양상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9도 이상일 때 날기 시작하고, 13도 이상부터 흡혈 활동을 한다. 모기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온은 26∼27도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는 암컷으로, 산란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 흡혈한다.
성충 기준으로 암컷 모기의 수명은 통상 3주가량인데, 기온이 30도 이상이면 수명이 2주로 줄어들고 33∼36도가 되면 1주로 더 줄어든다. 변온동물이기에 기온이 오를수록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그만큼 노화가 가속하는 것이다.
최근 몇년간처럼 여름철 폭염이 심하면 모기들이 빨리 죽어 개체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기온이 오르면 모기들이 '열 스트레스'를 받아 오히려 활동이 저하되기도 한다.
'환경 온도가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해외 논문(2018)에 따르면 이집트숲모기는 15∼32도에서 지속 가능한 비행을 할 수 있으나 35도가 넘어가면 짧은 시간 동안만 날 수 있었다. 게다가 36도 이상이면 흡혈 활동이 줄어들거나 중단된다.
이는 모기가 주변 환경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탓에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열 스트레스로 생리적 한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이동규 석좌교수는 "온도가 너무 오르면 모기들이 활동을 자제하게 된다"며 "모기들이 비행할 때 체온이 더 상승하므로 기온이 높으면 잘 움직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결국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모기들이 활동하기 적합한 계절이 여름에서 가을로 바뀌게 된 것이다.
한국의 주요 모기 종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발췌. 재판매 및 DB 금지]
가을 모기가 더 독하다?…과학적 근거 없어
여름철 폭염과 폭우도 모기의 산란과 유충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폭염으로 모기의 산란처인 물웅덩이가 사라지고, 기습 폭우로 알과 유충이 휩쓸려 내려가기 때문이다.
일일 강수량이 75㎜ 이상일 때와 15일 동안 총강수량이 150㎜ 이상일 때 모기 알과 유충의 유실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도 가을에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시내 유문등에 채집된 모기 수가 올해 8월 셋째 주 337마리, 넷째 주 369마리였던 것이 9월 첫째 주에는 433마리로 늘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모기에 여름철에 많이 나오지 않았다가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늘어나는 추세"라며 "올해도 작년처럼 가을에 모기가 많이 잡힐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가을 모기에 물리면 여름 모기보다 더 간지러울까.
가을 모기가 산란을 위한 에너지가 절실해 더 적극적으로 흡혈 활동을 하기에 가을 모기에게 물렸을 때 더 간지럽다는 '속설'이 있으나 과학적인 근거는 없다.
이동규 석좌교수는 "사람들이 가을에 야외활동을 더 많이 하면서 모기에 더 물리게 돼 가을 모기가 더 독한 것처럼 체감하는 것"이라며 말했다.
pseudojm@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factcheck@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제보는 카톡 okjebo
온라인슬롯머신 ┛ 57.rcc734.top ┛ 릴게임 무료충전게임
알라딘게임다운 ┛ 56.rcc734.top ┛ 황금성 다운
바다이야기하는법 ┛ 99.rcc734.top ┛ 황금성나비
릴게임 코리아 ┛ 37.rcc734.top ┛ 릴게임 확률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용의눈게임 강원랜드 슬롯머신 잭팟 바다이야기 도박 무료 야마토 게임 바다이야기동영상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일본빠찡코 슬롯머신 잭팟 Pg 소프트 무료 체험 신천지다운로드 양귀비예시 파칭코슬롯 신천지릴게임장주소 릴게임 확률 오션파라다이스예시 백경 게임 카지노 슬롯머신 모바일황금성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슬롯머신 원리 신천지게임하는방법 바다이야기먹튀신고 중고게임기 매매 10원야마토게임 바다이야기pc게임 바다이야기 디시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황금성하는곳 바다이야기파일 게임바둑이추천 신천지 게임 공략법 릴게임임대 파칭코사이트 바다이야기환전가능 릴게임 황금성 게임 야마토 창공 잭팟게임 창공릴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 릴게임무료 프라그마틱 슬롯 종류 슬롯머신 알고리즘 성인오락게임 릴짱 온라인신천지게임 빠칭코 슬롯머신 알라딘 릴게임 강원랜드슬롯머신 사이다 릴게임 릴황 금성 오션파라다이스 예시 성인오락게임 슬롯사이트순위 슬롯게임 순위 릴게임 무료머니 씨엔조이 릴게임 pc릴게임 바다이야기 시즌7 릴게임뜻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황금성검증 바다이야기 릴게임 사이트 추천 및 안내 카카오야마토먹튀 릴게임 다운로드 스위피릴게임 황금성연타 온라인야마토릴게임 릴게임설치 바다신게임 바다이야기 부활 릴게임 5만 적토마게임 오리지날황금성 오락실게임 바다이야기 넥슨 일본빠찡코 바다이야기예시종료 한국파친코 무료슬롯머신777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바다이야기게임다운 일본 파칭코 황금성릴 황금성 다운 야마토2게임동영상 바다이야기상어 우주전함야마토2205 한게임바둑이게임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릴게임 확률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릴게임 종류 인터넷빠찡꼬 하이로우하는법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사설경정 손오공게임다운로드 온라인황금성주소 바다이야기넥슨 야마토예시 릴게임 무료충전게임 야마토게임 다운로드 릴신천지 골드몽 황금성오리지널 슬롯머신무료 바다이야기먹튀 빠칭코게임다운로드 사이다 릴게임 바다이야기 먹튀 돈 받기 오션파다라이스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먹튀 돈 받기 오징어릴게임 바다이야기pc버전다운 오션슬롯 프라그마틱 슬롯 추천 오션파다라이스 다운로드 바다이야기다운로드 신천지인터넷게임 신천지 성인오락게임 릴게임이벤트 2020년부터 가을모기 > 여름모기…폭염에 수명 줄고 활동 저하올해도 가을모기 늘어날 듯…'여름모기보다 더 독하다' 속설 과학적 근거 없어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계절상 가을이 시작된 9월이지만 여름보다 더 모기가 많아진 것 같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는 속담이 있듯이 모기는 처서(올해는 8월 23일)가 지나고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이 되면 활동이 뜸해진다는 게 그동안의 상식이었다.
하지만 몇해 전부터 가을 모기가 심상치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또 늦가을까지 극성인 모기를 다룬 언론 보도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가을 모기가 늘어난 게 단지 사람들의 물품매매계약 느낌일 뿐일까. 실제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가 여름에서 가을로 바뀐 것일까 확인해봤다.
모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서울에서 가을 채집 모기, 여름철보다 많아
급전대출 급전82닷컴 서울의 경우 작년 모기 채집 통계를 보면 여름철보다 가을철에 모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등)에 채집된 모기 개체수는 모두 1만6천997마리였다.
연구원은 매년 4∼11월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에 설치된 유문등 53개에서 주 직업군인 1회 채집된 모기를 분석해 종별 발생 양상을 감시하고 있다.
지난해 채집된 모기 가운데 주거지에서 자주 접하는 모기인 빨간집모기가 전체의 86.9%로 우점종(가장 많은 종류)을 차지했다.
숲이나 공원에 주로 서식하는 한국숲모기, 말라리아를 전파하는 얼룩날개모기속, 뎅기열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을 옮기는 흰줄숲모기가 그 1년 퇴직금 뒤를 이었다.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서울에서 60마리(0.4%) 채집되기도 했다.
주별로는 6월 넷째 주(798마리)와 7월 첫째 주(801마리)에 단기 고점에 오른 뒤 오르락내리락하다가 9월 첫째 주부터 다시 반등해 10월 다섯째 주에 1천265마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직자서민대출11월 둘째 주에 채집된 모기가 1천87마리로, 8월 주 평균(429마리)의 2배가 넘어 지난해 모기가 늦게까지 기승을 부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모기 개체수 추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월별로 보면 모기의 가을 강세가 두드러졌다.
10월에 채집된 모기가 5천87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는 두 번째로 많은 7월 2천511마리의 2.5배 수준이었다.
10월을 포함해 가을철(9∼11월)에 잡힌 모기가 9천234마리로, 여름철(6∼8월)보다 많을 뿐만 아니라 전체의 54.3%에 달했다.
가을철에 포함된 11월은 4주가 아닌 2주만 계산된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모기 '극성기'가 가을이었다는 점이 뚜렷하다.
2020년 6월 울산서 발견된 작은빨간집모기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울산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0년부터 가을 모기 증가…빨간집모기 가을철에 여름철보다 1.6배
이런 추세는 2020년부터 시작됐다.
2015∼2024년 서울시 유문등 채집 모기 수 추이를 보면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주(이하 피크주)가 2015∼2019년 기간 중 2017년(9월 첫 주)을 제외하고 모두 7월이었다.
예컨대 2015년은 7월 셋째 주, 2016년은 7월 둘째 주, 2018년과 2019년은 7월 넷째 주가 피크주였다.
특히 2015년과 2016년엔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채집된 주도 7월이었다. 즉, 두 해는 한여름인 7월이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한 시기였다.
하지만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021년(6월 넷째 주)을 제외하고 피크주가 모두 10월이나 11월에 있었다.
2022년엔 피크주가 11월 첫째 주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늦은 시기였다.
월별로 보면 극성기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2015∼2019년엔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달(피크월)이 2017년(9월 첫 주)을 제외하고는 7월 또는 8월이었지만, 2020∼2024년은 9월 또는 10월이었다.
[표] 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된 주와 월의 연도별 추이
(단위: 마리)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모기'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빨간집모기만 놓고 보면 이런 추세는 더 두드러진다.
빨간집모기의 피크월은 2015년과 2016년은 7월, 2017년 9월, 2018년 10월, 2019년 7월로 여름과 가을을 오갔지만 2020년부터 5년간은 모두 10월을 기록했다.
2015년과 2016년 가을철에 채집된 빨간집모기 수는 여름철 모기 수의 절반가량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는 여름철 모기 수를 넘어서 지난해에는 여름철의 1.6배로 불어났다.
채집된 전체 빨간집모기 수에서 가을철 모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30.3%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22년부터는 50%를 웃돌고 있다.
[표] 빨간집모기 피크월과 계절별 추이
(단위: 마리, %)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유문등 채집 통계 자료.
'가을 모기 잡아라' 집중 방역 2023년 9월 18일 대구 동구 신암동 주택가에서 동구보건소 관계자가 모기 등 해충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방역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모기는 변온동물…폭염에 수명 짧아지고 '열 스트레스' 받아
모기 주 활동기의 이동은 기후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모기 권위자인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석좌교수에 따르면 모기는 변온동물이라 기온에 따라 활동 양상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9도 이상일 때 날기 시작하고, 13도 이상부터 흡혈 활동을 한다. 모기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기온은 26∼27도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는 암컷으로, 산란에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 흡혈한다.
성충 기준으로 암컷 모기의 수명은 통상 3주가량인데, 기온이 30도 이상이면 수명이 2주로 줄어들고 33∼36도가 되면 1주로 더 줄어든다. 변온동물이기에 기온이 오를수록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그만큼 노화가 가속하는 것이다.
최근 몇년간처럼 여름철 폭염이 심하면 모기들이 빨리 죽어 개체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기온이 오르면 모기들이 '열 스트레스'를 받아 오히려 활동이 저하되기도 한다.
'환경 온도가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해외 논문(2018)에 따르면 이집트숲모기는 15∼32도에서 지속 가능한 비행을 할 수 있으나 35도가 넘어가면 짧은 시간 동안만 날 수 있었다. 게다가 36도 이상이면 흡혈 활동이 줄어들거나 중단된다.
이는 모기가 주변 환경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탓에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열 스트레스로 생리적 한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이동규 석좌교수는 "온도가 너무 오르면 모기들이 활동을 자제하게 된다"며 "모기들이 비행할 때 체온이 더 상승하므로 기온이 높으면 잘 움직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결국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모기들이 활동하기 적합한 계절이 여름에서 가을로 바뀌게 된 것이다.
한국의 주요 모기 종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발췌. 재판매 및 DB 금지]
가을 모기가 더 독하다?…과학적 근거 없어
여름철 폭염과 폭우도 모기의 산란과 유충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폭염으로 모기의 산란처인 물웅덩이가 사라지고, 기습 폭우로 알과 유충이 휩쓸려 내려가기 때문이다.
일일 강수량이 75㎜ 이상일 때와 15일 동안 총강수량이 150㎜ 이상일 때 모기 알과 유충의 유실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도 가을에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시내 유문등에 채집된 모기 수가 올해 8월 셋째 주 337마리, 넷째 주 369마리였던 것이 9월 첫째 주에는 433마리로 늘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모기에 여름철에 많이 나오지 않았다가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늘어나는 추세"라며 "올해도 작년처럼 가을에 모기가 많이 잡힐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가을 모기에 물리면 여름 모기보다 더 간지러울까.
가을 모기가 산란을 위한 에너지가 절실해 더 적극적으로 흡혈 활동을 하기에 가을 모기에게 물렸을 때 더 간지럽다는 '속설'이 있으나 과학적인 근거는 없다.
이동규 석좌교수는 "사람들이 가을에 야외활동을 더 많이 하면서 모기에 더 물리게 돼 가을 모기가 더 독한 것처럼 체감하는 것"이라며 말했다.
pseudojm@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factcheck@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제보는 카톡 okjebo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