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문화공간을 만들어 갑니다.

커뮤니티

“말더듬 현상, 누구 잘못도 아니었다”…학계, 원인으로 ‘이것’ 지목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free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8-17 22:57

본문




언어 장애인 말더듬(Stuttering)이 지능이나 교육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 아닌 유전적 특성과 직접적 관계가 있음을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미국 밴더빌트 대학 메디컬센터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유전학’(Nature Genetics)에 발표한 논문을 인용하며 이같이 밝혔다.

말더듬은 특정 소리나 단어를 반복하거나 지연하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 말을 유창하게 하지 못하는 장애를 뜻한다. 그동안 말더듬에 대해서 유전적 구조로부터 원인을 찾는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말더듬 사례 10만건과 대조군 100만건 이상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말더듬과 관련된 48개 유전자에서 57개의 뚜렷한 영역(유전자좌)을 확인했다. 또 이 중 일부는 자폐증, 우울증, 음악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책임자인 제니퍼 빌로우 밴더빌트대 박사는 “왼손잡이, 어린 시절 트라우마, 위압적인 어머니에 이르기까지 말더듬의 원인에 대해 수백 년 동안 오해가 있었다”며 “우리 연구는 말더듬이 개인적 또는 가족적 결함이나 지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말을 더듬는 이들은 과거에 괴롭힘을 더 많이 겪고, 교실 참여가 감소하면서 부정적인 교육 경험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성인이 되어서도 구직이나 사회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딜런 프루엣 밴더빌트 의과대학 박사는 자신도 말더듬 장애가 있는 언어학자라고 밝히며 “말더듬과 관련된 사회적 낙인을 없애고 앞으로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말더듬은 일반적으로 2세에서 5세 사이에 증상이 나타난다. 이 중 80%는 치료를 받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일부는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증상이 지속된다.

이에 따라 언어 개입, 행동 수정, 인지 개입 등을 활용해 말더듬 치료법을 찾고 있으나, 현재까지 자발적인 회복 외에 치료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냉면 16000원’에도 줄 서던 미슐랭 맛집, 돌연 휴업…무슨 일
“이 정도는 괜찮겠지” 먹었다가 ‘응급실행’…여름철 음식 4가지 [라이프]
한 경기에 ‘헤드샷’ 두번…관중석 연호에 더 ‘뿔난’ 롯데 팬들
“‘이 혈액형’ 가진 사람, 60세 전 뇌졸중 위험 더 높다”
“불닭볶음면 마트보다 싸다”…소비쿠폰도 쓸 수 있는 ‘이곳’
노홍철, 삼시세끼 다 먹고 12㎏ 감량 유지…비결은 단 하나
뜨거운 물로 오래 씻는데…“‘이 건강’ 안 좋아집니다” 충격, 왜






6m3pml
추천0 비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