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문화공간을 만들어 갑니다.

커뮤니티

아무리 운동 해도 칼로리 소모량은 그대로랍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진오교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4,520회 작성일 23-12-15 09:09

본문

운동의 역설
다이어트와 운동에 관한 놀라운 과학

한때 헬스클럽이라 불렸던, 요즘은 ‘피트니스’ ‘짐’ 등등으로 회자되는 곳에 사람들이 가득하다. 누군가는 근육을 키우려고 하고, 어떤 이는 과시를 위해,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살을 빼려고 갖가지 운동기구에 매달린다. 하지만 진화인류학자 허먼 폰처는 <운동의 역설>에서 ‘운동해서 살 뺀다는 착각에서 벗어나라’고 역설한다. 탄자니아 북부 초원지대에서 수렵채집을 하는 하드자족 여성은 물과 땔감을 구하기 위해 하루 평균 8㎞를, 혼자 사냥을 나가는 남성은 16~24㎞를 걷는다. 하지만 하드자족 사람들도, 하루 1만 보도 제대로 걷지 않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 일본, 러시아 사람들과 매일 같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할 뿐이었다. 아무리 몸을 많이 움직여도(운동을 많이 해도) 칼로리 소모량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말이다.

이와 같은 ‘운동 역설’(Exercise Paradox)은 인간의 몸이 고강도 활동으로 에너지를 아무리 많이 소비해도, 다른 에너지 소비를 절약해 하루 총 에너지 소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서 비롯한다. 현대인들은 에너지 소비량을 단순하게 인풋과 아웃풋, 즉 그날 먹은 음식과 그에 따른 운동량으로만 계산한다. “원치 않는 지방”이 쌓였다면 “더 열심히 운동해 태워 없애면” 된다. 하지만 인간의 몸은 “단순한 연소 장치처럼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인간은 “공학 기술이 아니라 진화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살이 빠질까. 저자는 하드자족에게 “고환이나 뱀고기를 제외하고는 숭배하거나 기피할 만한 획기적 음식은 없다”고 말한다. 하드자족의 식단은 “저탄수화물, 키토제닉, 채식 그 무엇도 아니며” 또한 “굶거나 간헐적 단식”을 하지도 않았다. 단순하면서 포만감을 주는 식단, 무엇 하나에 의존하지 않는 식단이 하드자족이 살찌지 않고 건강한 비결이다. 주변에 널린 가공식품만 없애도 우리 몸의 신진대사는 한층 원활해질 것이다.

그렇다고 저자가 ‘운동 무용론’을 주장하는 건 아니다. 운동은 “우리를 튼튼하고 건강하게 만들어 저승사자를 멀리 쫓아버리는 좋은 방법”이다. 다만 운동이 “제한된 일일 에너지 예산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 우리 몸의 다른 기능들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난다. 휴식도 마찬가지다. 서구인들은 7~8시간의 잠을 확보하는 데 혈안이지만, 하드자족 사람들은 “해의 움직임에 따라 규칙적인 일상”을 산다. 하드자족 성인은 “낮 동안 야영지 주변을 돌아다니거나 사냥을 잠시 쉬면서 서양인들과 동일한 수준의 휴식 시간을 확보”한다. 한편 “휴식 시에도 스쿼트처럼 코어 근육과 다리 근육을 사용하는 활동적 자세를” 자주 취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안락의자나 소파에서 보내는 우리는 늘어지는 근육만 탓할 뿐이다.

물론 우리가 이제 와서 다시 하드자족처럼 생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오히려 하드자족이 산업화된 세계에 편입되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인간이 본래 어떤 삶을 살았었는가 하는, 일종의 깨달음이다. 굳이 문명사적 성찰일 필요는 없다. 몸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만이라도 찾으면 다행이다. <운동의 역설>은 단지 운동과 인간의 몸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그치지 않고, 인류의 활동이 낳은 영향, 즉 산업화와 현대화의 가치들이 다시 인간에게 어떤 방식으로 되돌아 왔는지, 나름 사유를 돕는다.

http://m.hani.co.kr/arti/culture/book/1051045.html?_fr=gg
추천0 비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